표1. 신동아건설 재무현황, 출처 : 감사보고서, 조르바 자체 정리
2019년 워크아웃 졸업이후 22년 딱 한 해 미미한 당기순손실을 시현한 것을 제외하고는 작년까지도 흑자를 기록했고요. 심지어 자본잠식도 아닙니다. 그런데 돌연 신동아건설이 회생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합니다. 전형적인 흑자부도 케이스입니다. 어떤 회사를 볼 때 단순히 재무제표상의 자기자본과 손익계산서상의 당기순이익만 봐서는 안되는 이유입니다. 우리는 2012년 경 모뉴엘 사태로 부터 배웠습니다. 모뉴엘은 숫자상으로는 매우 우량한 회사였습니다. 따라서 다양한 금융기관으로부터 투자를 받았죠. 결과는 흑자부도, 즉 마음먹고 친 사기의 결과였습니다.
어떻게 이게 가능한 일일까요?
손익계산서 상의 실적은 회사의 현금흐름 실질을 반영하지 못합니다. 현금흐름표를 같이 봐야 하는 이유구요. 보통 이렇게 말하면 돌아오는 대답의 99.9%는 어딜 봐야 하는지 모르겠어요, 봐도 무슨 의미인지도 모르겠어요 등등의 말이죠. 개인적으로 별것도 아닌 걸 별 것인양 어렵게 설명해서 강의 파는 사람들 혹은 숨기는 사람들, 변죽 울리는 부류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요.
속지 않을 수 있는, 초기에 합리적인 의심을 해 볼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.
한 회사의 숫자를 시계열로 주욱 늘어놓고, 당기순이익과 영업현금흐름을 빨간 점선 박스로 그루핑 해 뒀습니다. 쉽게 설명하면 당기순이익은 숫자상 어떤 회사가 벌어들인 돈이고요. 영업현금흐름은 말 그대로 영업활동을 통해 오고간 현금의 결과를 얘기합니다. 그렇다면 자 생각해 보시죠. 위의 표에는 제가 신동아건설의 워크아웃 졸업한 이후인 2019년부터 5개년의 숫자를 끌어 왔는데요. 5년치 당기순이익을 합치면 그래도 수중에 쥐는 영업현금흐름은 좀 있어야겠죠? 상식적으로? 현금은 안들어 오는데 나 혼자 돈벌었다고 기장 하면서 행복해 할 사람들은 그 어디에도 없으니까요. 그렇다면 5개년치 영업현금흐름의 합도 합리적인 수준에 들어와야 합니다. 합리적인 수준이 무엇이냐에 대한 대답은 쉽게 할 수 없어요. 업종별로 다르니까요. 근데 한가지 확실한 거 하나는 있습니다. "저렇게나 많이 벌었는데 현금 자체가 들어오지 않았다는 사실"은 그 어떤 업종을 불문하고 쉽게 눈에 띄죠. 이럴 때 우리는 합리적인 의심을 해보는 겁니다. "응? 뭐지?" 하면서 실체 파악을 위해 들여다보면 됩니다.